2017년

청년 일자리 대책은 없는 것인가?????????????

dnteco 2017. 4. 24. 22:35
반응형


통계청이 발표한 ‘3월 고용 동향’에 따르면 15~29세 청년 실업률은 전년 동월 대비 0.5%포인트 하락한 11.3%를 기록했다. 여전히 청년 10명 중 1명은 일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대부분의 청년이 입사하길 원하는 회사는 복지와 급여가 좋은 대기업인데 하늘의 별따기 만큼이나 어렵다.

또 신입 사원을 채용하는 기업들은 입사하자 마자 가용인력을 선호하기 때문에 갓나온 대졸자보다 경력자 채용을 원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는 어떤 대책을 가지고 청년 일자리를 만들고 있을까????????? 



유 부총리는 지난달 16일 열리는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크고 체감도가 높은 연구개발특구 육성, 에너지신산업 육성,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확산, 시간선택제를 통한 국가공무원 잡-셰어링 활성화 등 20여개 일자리 과제를 발표하기로 했다.  또 정부는 과제별로 일자리 창출 목표를 포함한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분기별로 추진계획 준수 여부, 일자리 창출 효과 등을 점검하는 등 집중적으로 관리해 나갈 계획이라고 한다. 



대책이 없는 시도 많지만 어느시의 대책을 보면 ▲3대 신성장 동력산업 육성으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 ▲다양한 기업 맞춤형 지원으로 경영안정을 통한 일자리 창출 ▲노인·장애인 등 취약 계층 사회적 일자리 확대 추진 ▲지식산업센터(아파트형 공장) 건립과 중앙지하도 상가 청년몰 조성을 통한 벤처기업 창업지원 및 대학생과 주부 등의 일자리 창출 등을 중점 추진한다는 모호성 계획에다 어느 시는 구직 수당 월50만원을 청년에게 지급한다고 한다. 모두가 모호한 대책뿐이다.?????????????



이번에 나오는 대선주자들도 하나같이 청년 일자리 문제를 정책으로 다루는 후보는 많으나 차기 정부를 어떻게 이끌어 갈 중.장기 분야별 육성 산업 대책이  없는데 정부가 예상하는 장래 소요 인원이 나오겠는가????????????????? 그 소요 인원에 따라 학제도 개편 해야 하고 대학별 정원을 만들어야 하는데  짜임세가 없는 모두가 졸속 대책뿐이 아닌가?????????????? 대학을 나온 사람은 하나 같이 양질의 일자리를 원하는데 대학정원을 잘못 정해준 정부는 해외라도 파송하는 것이 정부의 대책이 아닌가 싶다.??????????



하루라도 빨리 정부는 중장기 국가의 산업 발전 계획을 수립하고 예상가용 소요인원을 책정하여 대학졸업자의 취업의 길을 열어 주길 바랄 뿐이다.  ‘인재 모시기’를 위한 여러 중소기업이 모여 대학가 앞에 카페를 차려 놓고 수시로 회사 설명을 하는 사례가 나오고 청년 구직자들이 대기업 역시 학력이나 학점에 제한을 두지 않고 공채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반응형